본문 바로가기

길게

악의 평범성

아이히만은 아르헨티나로 도망갔다가 이스라엘 모사드한테 납치당해 예루살렘에서 재판을 받았다. 한나 아렌트가 재판 과정을 취재하고 쓴 <예루살람의 아이히만>에서 언급해서 유명해진 말.

 

오해했다. 이 말에 담긴 진짜 뜻을.  한나 아렌트가 말한 악의 평범성은 악마는 평범하다는 것이 아니라, 평범한 당신도 생각없이 권력에 복종하면 악마가 될 수 있다는 말이다.  

 

한나 아렌트는 재판에서 아이히만이 나치 선전문구에서나 나올법한 표현을 무한 반복하고, 입력 받은 몇 가지 용어들을 맥락없이 불쑥 사용한다는 걸 알았다. 이런 아이히만의 말하기의 무능력함은 바로 사유의 무능  사유의 부재,  무엇보다 타인의 관점에서 생각하는 능력이 모자란데 원인이 있다는 것을 간파했다.

 

섬뜩하다.

 

생각하기 싫어하는 사람이 대한민국에도 아주 많다. 진실은 복잡하거든. 그래서 피한다. 거짓은 단순하거든. 귀에 꽂히잖아. 설명이 필요없어.

 

그렇게 생각하기를 어려워 하는 당신은 곧 생각없이 말하고, 행동할 것이며, 그런 말에 누구는 상처를 받고, 피를 질질 흘리겠지. 그런데 그게 남에게는 아픈 말인지도 깨닫지 못한다. 관심이 없다. 그러거나 말거나. 공감할 줄 모르니 더 함부로 남의 마음에, 몸에 칼질을 하고....

 

아이히만도 자신을 악마라고 생각하지 않았어.  심지어 그는 유대인을 증오하지도 않았다. 그에게 안정된 직장을 소개해준 사람이 유대인이었을 정도다. 그리고 그는 독일 법을 준수하는 매우 근면성실한 시민이었다. 문제는 아이히만이 유대인을 아우슈비츠로 실어나르는 동안에 독일에서는 히틀러의 명령이 곧 법이었다는 것.

 

동어반복인데, 사유의 부재는 히틀러의 명령에 쉽게 복종하게 만들었고, 그렇게 복종하니 생각하는 힘은 점점 더 모자랄 뿐만아니라 거추장스러웠으리라. 그리고 이런 아이히만 같은 사람은 당시 독일에는 넘쳐났다. 그러니 재판에서 아이히만은  그러지 않을 수 없었다고 강변할 수 있었다. 즉 모든 사람, 또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유죄인 곳에서는 유죄가 아니라라는 논리다. 

 

그럴듯 하지? 어디서 많이 들어 본듯도 하고. 일제와 독재에 부역한 사람들도 똑같이 말해. 나만 그랬냐고. 어쩔 수 없었다고. 이런 사람들에게 한나 아렌트의 말로 답한다. 

 

"독일인 8천만명이 저지른 일 때문이 아니라 아이히만 니가 저지른 일이 유죄야!"

 

이 책은 한나 아렌트가 예루살람에서 아이히만 재판이 열리자 뉴요커라는 신문사의 요청을 받고 재판을 지켜보고 쓴 참관기를 다시 정리한 것이다. 다섯번으로 나눠 이 글이 처음 뉴요커에 실렸을 때 아주 격렬한 비판, 아니 비난이 일었다고 한다. 유대인들이 특히 한나 아렌트의 글에 분노했다. 

 

한나 아렌트는 유대인 학살은 "유대인"에게 저질러진 범죄가에 그치지 않고, 유대인의 몸을 빌어 인류에게 저지른 범죄이므로 이스라엘 법정이 아니라 국제재판소를 열어 재판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지 않으면 희생자의 한풀이로 그치고, 또 이런 인류 범죄는 반복될 것이라고.

 

유대인들의 집단 반발은 다른 이유도 있다. 이 책에서 한나 아렌트는 아이히만이 실행한 유대인 이송에 필요한 명단을 유대인 명망가들, 유대인 공동체의 대표들이 만들어서 제공한 것임을 빠뜨리지 않았다. 그들은 물론 기만당해서 그랬다고 할 수도 있다. 유대인들 중 살아 남은 유대인들은 자신의 공동체 지도자의 말을 듣지 않은 사람들이 더 많다는 건 아이러니다. 

 

한나 아렌트의 주장은, 이스라엘 정부의 심사를 거스르고, 피해자 희생자는 뭐든 다해도 된다고 여기는 유대인들을 불편하게 한다. 

 

한나 아렌트는 정치인이 아니다. 학자다. 지식인이다. 지성인이다.

 

그는 이렇게 말해도 된다. 말하지 않으면 더 문제지.

 

우리에게는 한나 아렌트가 없다.